훈민정음(언해본)

출처 : 서강대학교 로욜라도서관

훈민정음(언해본)

훈민정음언해 / 訓民正音諺解

  • 주제 : 문자, 언어
  • 연도 : 1459(훈민정음 반포 직후)

문자 '훈민정음'의 한문본 해설서 『훈민정음』을 우리말로 옮긴 책. 별도의 독립된 책 형태가 아니라 1459년(세조 5)에 간행된 목판본 『월인석보』 권1의 맨 앞에 실려 있음. 세종이 직접 쓴 서문과 훈민정음 28자를 소개한 '예의(例義)', 곧 본문만을 한글로 번역한 것으로, ‘훈민정음언해’라고도 불림. 한글로 풀어쓴 세종의 서문은 ‘나랏말싸미 중국에 달아’로 시작되는 문장으로 잘 알려져 있음.

현존자료

번호, 현존자료, 연도, 소장처 로 구성됨
번호 현존자료 연도 소장처
1 원간본(『월인석보』 권두본), 보물 1459년(세조 5) 서강대학교 도서관
2 원간본(『월인석보』 권두본 1459년(세조 5) 고려대학교 도서관(육당문고)(박승빈 구장본, 권두 1장 보사)
3 중간본(『월인석보』(희방사판) 권두본) 1568년(선조 1) 국립한글박물관(한구181) 등
4 중간본(『월인석보』(희방사판) 권두본) 1572년(선조 5) 영남대학교 도서관;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;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
5 필사본 18세기 일본 宮內廳 書陵部
6 필사본 1824년(순조 24) 일본 고마자와(駒澤)대학 濯足문고(金澤庄三郞 구장본)
7 필사본 20세기 전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(일사문고)
8 필사본 20세기 중반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(가람문고)
9 필사본 1920년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

영인자료

번호, 영인자료, 영인 저본, 영인자, 영인 연도, 비고로 구성됨
번호 영인자료 영인 저본 영인자 영인 연도 비고
1 『훈민정음』 육당본+희방사판 계명구락부 1932
2 『주해 훈민정음』 해례본+희방사판 김민수/통문관 1957
3 『월인석보』 월인석보(원간본)권두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2 [해제: 정연찬]
4 『국어학자료선집 Ⅱ』 월인석보(원간본)권두본 국어학회/일조각 1972 [해제: 안병희]
5 『중세어문선』 월인석보(원간본)권두본 한국어문학회/형설출판사 1973
6 『훈민정음』 해례본+언해본 한국고전총서간행위원회/대제각 1973
7 『훈민정음(신구문고 1)』 해례본+언해본 강신항/신구문화사 1974
8 『신강 훈민정음』 해례본+언해본 서병국/경북대학교 1975
9 『훈민정음』 해례본+언해본 박종국/정음사(문고본) 1976
10 『역해 훈민정음』 해례본+언해본 박병채/박영사(박영문고) 1976
11 『훈민정음』 해례본+언해본 유창균/형설출판사(문고본) 1977
12 『훈민정음』 해례본+언해본 동악어문학회/이우출판사 1980
13 『국어 자료 고문선』 해례본+언해본 박은용·김형수/형설출판사 1984
14 『훈민정음 연구』 해례본+언해본 이성구/동문사 1985 원척 영인
15 『中期朝鮮語資料選』 해례본+언해본 일본 동경외국어대학교 조선어학과 1987
16 『역주 월인석보 제1, 2』 월인석보(원간본)권두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2
17 『중세국어강독』 해례본+언해본 민현식/개문사 1992
18 『국어사자료선집』 월인석보(원간본)권두본 서광학술자료사 1994
19 『훈민정음신연구』 해례본+언해본 이근수/보고사 1995
20 『세종학 연구』 11 해례본+언해본(제 이본)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6
21 『중세어 자료 강해』 월인석보(원간본)권두본 고영근·남기심/집문당 1997
22 『국어사 강독선』 해례본+언해본 한말연구회/박이정 1998
23 『월인석보(권1, 2)』 월인석보(원간본)권두본 강규선/보고사 1998
24 『훈민정음연구』 해례본+언해본 강규선/보고사 2001
25 『훈민정음(100대 한글문화유산-1)』 해례본+희방사판 박창원/신구문화사 2005
26 『훈민정음 언해본 이본조사 및 정본제작 연구』 월인석보(원간본)권두본 조규태 외/문화재청 2007 문화재청 학술연구용역사업보고서(디지털 복원 영인)
27 『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』 해례본+언해본 국립국어원/생각의 나무 2008 문화재청 디지털 복원본 재영인

원문검색 사이트 명을 클릭하시면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.

번호, 구축원문, 구축사이트로 구성됨
번호 구축원문 구축사이트 비고
1 세종어제훈민정음언해(1568년, 희방사판)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
2 월인석보 권두본(서강대학교 소장본) 디지털한글박물관
3 월인석보 권두본(서강대학교 소장본) 국가문화유산포털

역주서

번호, 역주서, 역주자, 역주연도, 비고로 구성됨
번호 역주서 역주자 역주연도 비고
1 『주해 훈민정음』 김민수/통문관 1957
2 『해설 역주 훈민정음』 이정호/보진재 1972
3 『역주 주해 훈민정음』 이정호/아세아문화사 1974
4 『훈민정음(역주)』 강신항/신구문화사 1974 (증보판: 1995)
5 『신강 훈민정음』 서병국/경북대학교 출판부 1975 (학문사: 1981)
6 『역해 훈민정음』 박병채/박영사(박영문고 150) 1976
7 『주해 훈민정음』 박종국/정음사 1976
8 『풀이한 훈민정음』 박지홍/과학사 1979
9 『훈민정음 연구』 이성구/동문사 1985 (애플기획: 1998)
10 『국문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』 이정호/보진재 1986
11 『훈민정음연구』 강신항/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87 (증보판: 1990)
12 『훈민정음 신연구』 이근수/보고사 1995
13 『훈민정음』 한글학회 1997
14 『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』 조규태/한국문화사 2000
15 『훈민정음(100대 한글문화유산-1)』 박창원/신구문화사 2005

관련자료

  • Gale, J.S.(1912), The Korean Alphabet, Transactions of the Kore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, Vol.Ⅳ, PartⅠ.
  • 小倉進平(1919), 訓民正音に就いて, 『藝文』 10-8.
  • Eckardt, P. A.(1928), Der Ursprung der Koreanischen Schrift, Mitteilungen der Deutschen Gesellschaft für Natur- und Völkerkunde Ostasien, ⅩⅩⅡ.
  • 김윤경(1935), 훈민정음에 나타난 철자법 규정, 『한글』 3-8.
  • 방종현(1935), 훈민정음, 『한글』 20.
  • 박승도(1936), 훈민정음중간발, 『정음』 16.
  • 윤정하(1938), 훈민정음후서 숙종대왕, 『정음』 22.
  • 김윤경(1938), 『조선문자급어학사』, 조선기념도서출판관.
  • 홍기문(1940), 훈민정음의 각종본, 『조광』 6-10.
  • 방종현(1945), 훈민정음의 서문을 읽으며, 『민중조선』 1.
  • 방종현(1946), 훈민정음사략, 『한글』 97.
  • 홍기문(1946), 『정음발달사,』 서울신문사 출판국.
  • 방종현(1947), 훈민정음과 훈몽자회와의 비교, 『국학』 2.
  • 방종현(1948), 『훈민정음통사』, 일성당서점.
  • 전몽수·홍기문(1949), 훈민정음 역해, 『조선어문고』 제1책, 평양: 조선어문연구회.
  • 호진수(1949), 『조선문자발전사,』 대양프린트사.
  • 김영덕(1956), 훈민정음 서문고, 『호서문학』 3.
  • 김민수(1957), 『주해 훈민정음』, 통문관.
  • 이동림(1972), 훈민정음과 동국정운, 『문화비평』 12.
  • 이승욱(1972), 국어문자의 연구사, 『국어국문학』 58-60.
  • 유창균(1974), 『훈민정음』, 형설출판사.
  • 이동림(1974), 훈민정음 창제경위에 대하여, 속소위 반절 27자와 상관해서, 『국어국문학』 64.
  • 이정호(1974), 『역주 주해 훈민정음』, 아세아문화사.
  • 허웅(1974), 『한글과 민족문화』, 세종대왕기념사업회.
  • 강신항(1974), 『훈민정음(역주)』, 신구문화사.(증보판 1995)
  • 서병국(1975), 『신강 훈민정음』, 경북대 출판부.
  • 안병희(1976), 훈민정음의 이본, 『진단학보』 42.
  • 이기문(1976), 최근의 훈민정음 연구에서 제기된 몇 문제, 『진단학보』 42.
  • 이우성(1976), 조선 왕조의 훈민정책과 정음의 기능, 『진단학보』 42.
  • 박병채(1976), 『역해 훈민정음』, 박영사.
  • 박종국(1976), 『주해 훈민정음』, 정음사.
  • 이기문 편(1977), 『국어학논문선』 7(문자), 민중서관.
  • 菅野裕臣(1977), ハングル(その構造と成立), 『言語』 6-10, 東京.
  • 김석환(1978), 『(현토 주해) 훈민정음』, 보령: 활문당.
  • 박지홍(1979), 『풀이한 훈민정음』, 과학사.
  • 이동림(1980), 언문과 훈민정음 관계: 재인식된 가획원리를 중심으로, 『연암 현평효박사 회갑기념논총』.
  • 심재금(1981), 훈민정음 연구,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  • 박지홍(1981), 어제훈민정음의 연구: 한문본과 한글본의 비교에서, 『한글』 173·174.
  • 서병국(1981), 『신강 훈민정음』, 학문사.
  • 陶山信男(1981-1982), 訓民正音 硏究(其1-其4), 『愛知大學 文學論叢』 66-69.
  • 렴종률·김영황(1982), 『훈민정음에 대하여』, 평양: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.
  • 장태진(1983), 훈민정음 서문의 언어계획론적 구조, 『청람 김판영 박사 회갑기념논문집』.
  • 박종국(1983), 훈민정음 ‘예의’에 관한 연구: 그 해석과 이본간의 오기에 대하여, 건국대 석사학위논문.
  • 박종국(1983), 훈민정음 이본간에 나타난 예의의 몇 가지 문제, 『문호』(건국대) 8.
  • 이성연(1984),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몇 가지 문제, 『한글』 185.
  • 김완진(1984),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연구, 『한국문화』 5. 서울대.
  • 박지홍(1984), 『풀이한 훈민정음: 연구·주석』, 과학사.
  • 안병희(1985), 훈민정음 사용에 관한 역사적 연구, 『동방학지』 46·47·48.
  • 이성구(1985), 『훈민정음연구』, 동문사.
  • 김동언(1985), 훈민정음 국역본의 번역시기 문제, 『한글』 189.
  • Sampson, G.(1985), Writing Systems: A Linguistic introduction, London: Hutchinson Publishing Group.
  • 이정호(1986), 『국문영문 해설 역주 훈민정음』, 보진재.
  • 문효근(1986), 『훈민정음』의 ‘終聲復用初聲’의 이해: ‘종성해’와의 관련에서, 『한글』 193.
  • 박지홍(1986), 훈민정음 제정의 연구: 자모의 차례 세움과 그 제정, 『한글』 191.
  • 여찬영(1987), 훈민정음의 언해에 대한 관견, 『우정박은용박사회갑기념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』, 효성여대출판부.
  • 강신항(1987), 『훈민정음 연구』, 성균관대 출판부.(증보판 1990/1999)
  • 이광호(1988), 훈민정음 ‘신제28자’의 성격에 대한 연구, 『배달말』 13.
  • 이돈주(1988), 『훈민정음』의 해설, 신상순 외 편 『훈민정음의 이해』 소수, 한신문화사.
  • 이응백(1988), 훈민정음 창제의 근본 뜻: 愚民․耳를 중심으로, 『어문연구』 57.
  • 장태진(1988), 훈민정음 서문의 담화구조, 『꼭 읽어야 할 국어학논문집』, 집문당.
  • 권재선(1988), 『훈민정음 해석 연구』, 우골탑.(증보판 1995)
  • 김차균(1988), 훈민정음의 성조, 『어연총서』(전남대) 1, 한신문화사.
  • 신상순·이돈주·이환묵(1988), 『훈민정음의 이해』, 한신문화사.
  • 김광해(1989), 훈민정음과 108, 『주시경학보』 4.
  • 김승곤(1989), 세종어제 『훈민정음』의 “ㄱ,ㅋ,ㆁ”들은 어떻게 읽을 것인가?, 『한글새소식』 201, 한글학회.
  • Bak, Giuan(1989), Esperantigita Hun Min Gong Um(에스페란토로 옮긴 훈민정음), 한글학회.
  • 안병희(1990), 훈민정음 언해의 두어 문제, 『벽사 이우성선생 정년퇴직기념 국어국문학논총』, 여강출판사.
  • 이현희(1990), 훈민정음, 『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』, 서울대 대학원 국어연구회.
  • 김광해(1990), 훈민정음 창제의 또다른 목적, 『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』, 태학사.
  • 신창순(1990), 훈민정음 연구문헌목록, 『정신문화연구』 13-1, 한국 정신문화연구원.
  • 이승재(1991), 훈민정음의 언어학적 이해, 『언어』 16-1.
  • 이현희(1991), 훈민정음의 이본과 관련된 몇 문제, 『어학교육』 21, 전남대학교 언어교육원.
  • 임용기(1991), 『훈민정음』의 이본과 언해본의 간행시기에 대하여, 『국어의 이해와 인식(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)』, 한국문화사.
  • 정우상(1991), 『훈민정음』의 통사구조, 『갈음 김석득 교수 회갑기념논문집』, 한국문화사.
  • 김광해(1991), 훈민정음과 불교, 『인문학보』 12, 강릉대 인문과학연구소.
  • 이근수(1992), 훈민정음, 『국어학연구 100년사(Ⅱ)』, 일조각.
  • 박지홍(1992), 훈민정음 연구 분야에 대하여, 『한글』 216.
  • 강신항(1993), 『ハングルの成立と歷史』, 東京: 大修館書店. [강신항(1990)의 번역판]
  • 이성일(1994), 훈민정음 서문과 King Alfred의 Cura Pastoralis 서문, 『인문과학(연세대)』 71.
  • 이응백(1994), 훈민정음에 나타난 세종대왕의 생각, 『어문연구』 81·82.
  • 최명재(1994), 훈민정음의 ‘異於中國’에 관한 고찰, 『어문연구』 81·82.
  • 이근수(1995), 『훈민정음 신연구』, 보고사.
  • 송민(1995), 외국학자의 훈민정음 연구, 『어문학논총』 14,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.
  • 中村完(1995), 『論文選集 訓民正音の世界』, 創榮出版.
  • 유창균(1996), 『훈민정음 역주』, 형설출판사.
  • 이기문(1996), 현대적 관점에서 본 한글, 『새국어생활』 6-2.
  • 안병희(1997), 훈민정음서의 ‘便於日用’에 대하여, 『어문학논총,』 태학사.
  • 이현희(1997), 훈민정음, 『새국어생활』 7-4.
  • 한글학회 역(1997), 『훈민정음』 한글학회.
  • 김석환(1997), 『훈민정음연구』, 한신문화사.
  • 이성구(1998), 『훈민정음연구』 애플기획.
  • 최민홍(1998), 훈민정음이 말한 세 가지 정신, 『한글새소식』 311.
  • 김완진(1998), A Dual Theory in the Creation of the Korean Alphabet, 『아시아의 문자와 문맹』, 고려대 언어정보연구소.
  • 현용순(1998), 훈민정음 서체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, 『생활문화예술론집』 21.
  • 이광호(1999), 훈민정음 ‘新制二十八字’의 ‘新制’, 『문헌과 해석』 9.
  • 전영숙(1999), 훈민정음 연구, 『논문집』 22, 신흥대학교.
  • 김성대(1999), 『(역해)훈민정음』, 하나물.
  • 안병희(2000), 한글의 창제와 보급, 『겨레의 글 한글』, 국립중앙박물관.
  • 임용기(2000), 훈민정음, 『문헌과 해석』 12, 문헌과 해석사.
  • 정우영(2000), 훈민정음언해의 이본과 원본재구에 관한 연구, 『불교어문논집』 5.
  • 조규태(2000), 『번역하고 풀이한 훈민정음』, 한국문화사.
  • 김원(2000), 훈민정음 머리말의 건축적 해석, 『한글새소식』 339.
  • 김광해(2000) 풀리지 않는 한글의 신비, 『새국어소식』 27, 국립국어연구원.
  • 김영배(2000), 연구 자료의 영인: 훈민정음의 경우, 『새국어생활』, 10-3, 국립국어연구원.
  • 박병천(2000), 『조선초기 한글 판본체 연구: 훈민정음·동국정운·월인천강지곡』, 일지사.
  • 신지연(2000), 훈민정음의 두 서문의 텍스트성, 『언어』 25-3.
  • 강규선(2001), 『훈민정음 연구』, 보고사.
  • 와타나베 다카코(2002), 훈민정음 연구사: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를 중심으로,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  • 전정례·김형주(2002), 『훈민정음과 문자론』, 역락.
  • 강신항(2003), ‘정음’에 대하여, 『한국어연구』 1, 한국어연구회.
  • 강신항(2003), 『훈민정음 연구(수정증보)』, 성균관대 출판부.
  • 박지홍(2003), 훈민정음의 연구(1), 『한겨레말연구』 1, 부산: 두메 한겨레말 연구실
  • 이등룡(2004), 『훈민정음』 언해본의 ‘한음치성’에 대한 관견, 『인문과학』 34, 성균관대 인문과학연구소.
  • 이상혁(2004), 『훈민정음과 국어 연구』, 역락.
  • 정우영(2005), 『훈민정음』 언해본의 성립과 원본 재구, 『국어국문학』 139, 국어국문학회.
  • 박창원(2005), 『훈민정음』(100대 한글 문화유산-1), 신구문화사
  • 이동화(2006), 『훈민정음과 중세국어』, 문창사.
  • 김석환(2006), 『훈민정음 연구』, 한신문화사
  • 정광(2006), 『훈민정음의 사람들』, 제이앤씨.
  • 김슬옹(2006), ‘훈민정음’의 명칭 맥락과 의미, 『한글』 272, 한글학회
  • 박미영(2006), 국어 지식 영역에서 국어사 교육의 내용과 방법: 국어의 변화를 고려한 훈민정음 교수․학습 원리를 중심으로, 성신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
  • 황경수·강규선(2006), 훈민정음 연구, 청운.
  • 안병희(2007), 『훈민정음연구』, 서울대학교출판부.
  • 이상혁(2007), 훈민정음에 대한 문화콘텐츠적 접근과 그 방향, 『한국어학』 36, 한국어학회.
  • 김슬옹(2007), 『28자로 이룬 문자혁명: 훈민정음』, 아이세움.
  • 김슬옹(2007), 『훈민정음』 영인본과 연구 문헌 목록 구성, 『한글』 278, 한글학회
  • 김유범(2007), 문헌어의 음성적 구현을 위한 연구(1): 15세기 문헌자료 언해본 『훈민정음』의 ‘어제서문’을 대상으로, 『한국어학』 34, 한국어학회
  • 김주원·이현희·이호권·정상훈·정우영·조규태(2007), 훈민정음 언해본의 정본 제작에 관한 연구, 『국어사연구』 7, 국어사학회.
  • 문화재청(2007), 『훈민정음 언해본 이본조사 및 정본제작 연구』, 학술연구용역사업보고서.
  • 박종국(2007), 『훈민정음종합연구』, 세종학연구원
  • 시정곤(2007), 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, 『우리어문연구』 28, 우리어문학회.
  • 이상혁(2008), 훈민정음과 한글의 언어문화사적 접근: 문자, 문자기능의 이데올로기적 속성을 중심으로, 『한국어학』 41, 한국어학회.
  • 정요일(2008), 『훈민정음』 「서문」의 ‘자’ㆍ‘놈’의 의미와 관련한 고전 재검토의 필요성 논의, 『어문연구』 31, 한국어문교육연구회.
  • 국립국어원(2008), 『알기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』, 생각의 나무.
  • 여찬영(2010), 『훈민정음 언해본』의 번역학적 연구, 『언어과학연구』 54.
  • 김주필(2011), 고려대학교 소장 『훈민정음』(언해본)의 특징과 의미, 『어문학논총』 30.
  • 김주필(2011), 고려대학교 소장 『훈민정음』(언해본)의 특징과 의미, 『어문학논총』 30,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.
  • 이근열(2012), 『훈민정음』 언해의 문법 인식, 『우리말연구』 30.
  • 이근열(2012), 『훈민정음』 언해의 문법 인식, 『우리말연구』 30, 우리말학회.
  • 정광(2013), 『월인석보』의 舊卷과 훈민정음의 언해본 : 正統 12년 佛日寺板 『월인석보』 玉冊을 중심으로, 『국어학』 68, 국어학회.
  • 노정애(2013), 訓民正音 創製의 民族文學史的 意義 硏究,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.
  • 김슬옹(2015), 『훈민정음』 '정인지 서문'의 표준 번역을 위한 시안, 『청람어문교육』 53, 청람어문교육학회.
  • 이은희, 양병찬(2017), 조선 시대 '훈민정음' 창제의 문해교육적 의미, 교육사상연구 31(2), 한국교육사상연구회.
  • 이철기(2017), 『세종어제서문』의 표기적 특징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접근, 『우리말연구』 48, 우리말학회.
  • 국립한글박물관(2018), 훈민정음 표준 해설서(국문, 영문).
  • 이규범(2019), 『훈민정음어제서문』과 국어사 교육, 『문법교육』 35, 한국문법교육학회.
  • 정광(2020), 훈민정음의 『언해본』 -고려대 도서관 육당문고 소장의 「훈민정음」을 중심으로-, 어문논집 88, 민족어문학회.
상단으로